1. 준비(Prerequisite)
- Amazon AWS 계정(free tier도 상관없음)
2. AWS EC2 생성
- 인스턴스 시작
- Ubuntu Server 20.04 LTS (HVM), SSD Volume Type 선택
- 대부분의 설정은 default setting으로 넘어가도 되는데, 보안그룹구성에서 변경이 필요
- 보안그룹을 추가하는데, 여기서 발급된 키 xxx.pem을 잘 저장해둔다. 원격 접속 시 필요하다.
- 유형: 사용자 지정 TCP 규칙, 프로토콜: TCP, 포트범위: 25565, 소스: 0.0.0.0/0 를 추가한다. (PC 접속용)
- 유형: 사용자 지정 UDP 규칙, 프로토콜: UDP, 포트범위: 19132, 소스: 0.0.0.0/0 를 추가한다. (스마트폰용)
- 인스턴스 대쉬보드에서 새로 생성한 인스턴스 옆에 마우스 우클릭 - 연결
- ssh 로 시작하는 커맨드를 복사하여, xxx.pem을 저장해둔 곳에서 실행한다.
3. 마인크래프트 서버 설치 및 실행
- Forge server
$ wget https://maven.minecraftforge.net/net/minecraftforge/forge/1.18.1-39.0.7/forge-1.18.1-39.0.7-installer.jar $ java -jar forge-1.18.1-39.0.7-installer.jar --installServer $ run.sh |
- Spigot server
$ wget https://download.getbukkit.org/spigot/spigot-1.18.1.jar $ java -jar spigot-1.18.1.jar |
4. 부연설명
- PC와 모바일 모두 접속가능하게 하려면, spigot 서버에서 사용되는 geyser-spigot.jar, floodgate.jar
두가지 플러그인이 필요하다. PC용으로만 접속하게 한다면, 25565 포트만 열여주면 된다.
- AWS 사용해서, public 서버를 운영하는 것은 비용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 다른 저렴한 마인크래프트 서버 호스팅 서비스가 있으니 찾아보는 것을 권장한다.
(직접 써보지는 않았지만, 월 몇천원 수준으로 알고 있다. AWS는 계정마다 다르겠지만, 약 만원 내외)
- 내가 만든 mod를 서버에서 돌리기 위해서는 mod.jar 파일을 서버로 자주 업로드 해야한다.
AWS는 FTP를 막아놨고, SCP를 써서 파일 전송을 해야한다. WinSCP 같은 툴을 사용하길 권장한다.
ssh에서 사용했던 xxx.pem 보안키가 scp를 사용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Minecraft] Forge 환경 설정 (0) | 2021.12.21 |
---|---|
[Minecraft] Spigot Plugin 개발 환경 설정 (0) | 2021.12.21 |
[Minecraft] Forge와 Plugin 의 차이점 (0) | 2021.12.21 |
[Minecraft] 환경 설정, 들어가는 말 (0) | 2021.12.21 |
[Minecraft] Magma 서버 설정 (0) | 2021.12.11 |
댓글 영역